금값시세 금은방 시세표 읽는법 초보도 쉬운 실전 구매가이드 50대 추천
🚀 1. 금은방 시세표 기초 용어
금은방 가면 벽에 붙어 있는 시세표, 어렵게 느껴지시죠? 하나씩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!

✨ 가장 먼저 알아야 할 기본 용어
- 1돈 (3.75g): 한국 금 거래의 기본 단위예요. 1돈 = 3.75그램
- 24K (순금): 순도 99.9% 순금. 가장 비싸고 가장 순수해요
- 18K: 금 75% + 다른 금속 25%. 반지·목걸이에 주로 사용
- 14K: 금 58.5%. 저렴하지만 금 함량 적음
- 매입가: 금은방이 금을 사는 가격 (낮음)
- 매도가(판매가): 금은방이 금을 파는 가격 (높음)
✨ 시세표에 나오는 숫자 해석
- "1돈 42만원": 24K 순금 3.75g의 가격이 42만원이란 뜻
- "1g 11.2만원": 순금 1그램 가격 (1돈 ÷ 3.75 = 1g 가격)
- "18K 31.5만원": 18K 금 1돈(3.75g) 가격
- "매입 41만원 / 매도 43만원": 사는 가격과 파는 가격 차이 (마진)
📌 2025년 10월 19일 기준 실제 시세표 예시
• 24K 순금: 매입 41.5만원 / 매도 43.8만원 (1돈 기준)
• 18K: 매입 31.2만원 / 매도 33.0만원 (1돈 기준)
• 14K: 매입 24.3만원 / 매도 25.8만원 (1돈 기준)
• 그램당: 순금 1g = 약 11.7만원
→ 이 숫자들을 보고 어떤 제품이 적정가인지 판단하시면 됩니다!
📊 2. 순도별 가격 차이 완벽 이해
같은 무게인데 왜 가격이 다를까요? 순도 때문이에요!
📈 순도별 가격 비교표 (1돈 기준)
순도 | 금 함량 | 매입가 | 매도가 | 추천 용도 |
---|---|---|---|---|
24K (순금) | 99.9% | 41.5만원 | 43.8만원 | 투자용 ✅ |
18K | 75% | 31.2만원 | 33.0만원 | 장신구 |
14K | 58.5% | 24.3만원 | 25.8만원 | 저렴한 장신구 |
10K | 41.7% | 17.3만원 | 18.5만원 | 비추천 |
24K (순금) - 투자 목적 1순위
- 특징: 순도 99.9%, 가장 순수한 금
- 장점: 재판매 시 가격 손실 최소, 투자 가치 최고
- 단점: 무르고 변형 쉬움 (장신구엔 부적합)
- 추천: 50대 재테크, 자산 보존 목적 ✅
- 형태: 골드바, 순금 반지(두툼한 것)
18K - 장신구 겸용
- 특징: 금 75% + 다른 금속 25%
- 장점: 단단해서 장신구에 적합, 24K보다 저렴
- 단점: 재판매 시 손실 큼 (금 함량 낮음)
- 추천: 착용할 목적의 장신구
- 주의: 투자 목적으론 비추천!
14K 이하 - 비추천
- 특징: 금 함량 60% 미만
- 문제점: 재판매 가치 급락, 금이라 보기 어려움
- 매입 거부: 일부 금은방에서 매입 안 해줌
- 결론: 투자나 재테크 목적으론 절대 비추!
💡 순도 확인 꿀팁
🔥 각인 확인 필수:
- 24K: "999", "K24", "순금" 각인
- 18K: "750", "K18" 각인 (75% 의미)
- 14K: "585", "K14" 각인
→ 각인 없으면 절대 사지 마세요! 가짜일 확률 높아요!

✅ 3. 시세표 읽는 실전 사례
🔍 사례 1: 금은방 A의 시세표
【 오늘의 금시세 】
24K 순금 (1돈): 매입 415,000원 / 매도 438,000원
18K (1돈): 매입 312,000원 / 매도 330,000원
14K (1돈): 매입 243,000원 / 매도 258,000원
※ 2025.10.19 오전 10시 기준
이 시세표에서 읽어야 할 핵심
- 매입-매도 차이: 24K 기준 23,000원 (약 5.5%)
- 의미: 금은방이 5.5% 마진 가져감
- 계산: 438,000원에 사서 바로 팔면 415,000원 받음 → 23,000원 손해
- 결론: 단기 매매하면 무조건 손해! 최소 3개월 이상 보유 필수
🔍 사례 2: 순금 반지 5돈 구매 시
- 시세표: 24K 순금 1돈 매도가 438,000원
- 계산: 438,000원 × 5돈 = 2,190,000원
- 실제 청구: 약 2,350,000원
- 차이 이유: 공임비(가공비) 약 16만원 추가
- 공임비: 반지 만드는 노동력 비용 (보통 7~10% 추가)
🔍 사례 3: 금 판매할 때
- 소유: 24K 순금 반지 3돈 (2년 전 130만원에 구매)
- 오늘 시세: 24K 1돈 매입가 415,000원
- 계산: 415,000원 × 3돈 = 1,245,000원 받음
- 손익: -55,000원 손실
- 이유: 구매 시 공임비 포함했는데, 판매 시엔 금값만 받음
💡 시세표 활용 실전 팁
💰 매입가 vs 매도가 이해:
- 내가 "사는" 가격 = 시세표의 "매도가"
- 내가 "파는" 가격 = 시세표의 "매입가"
- 헷갈리기 쉬우니 꼭 기억하세요!
→ 금은방 입장에서 쓴 용어라 반대예요!

🛠️ 4. 50대 맞춤 구매 가이드
📝 50대가 금을 사야 하는 이유
① 은퇴 자산 보존
- 예금 이자 낮아짐: 은행 금리 3% 시대, 물가 상승 못 따라감
- 주식 부담: 50대부터 주식 변동성 부담 커짐
- 금의 안정성: 장기적으로 꾸준히 가치 상승 (연 7~10%)
- 추천 비율: 전체 자산의 10~20%를 금으로 보유
② 자녀 증여 목적
- 현금 증여세: 5,000만원 초과 시 10~50% 세금
- 금 증여 장점: 소량씩 나눠서 증여 가능, 세금 절감
- 방법: 매년 소액(500만원어치)씩 자녀에게 선물
- 주의: 증여세 신고 기준 잘 확인
③ 인플레이션 헤지
- 물가 상승: 10년 후 생활비 2배 이상 예상
- 금값 동반 상승: 금은 실물자산이라 물가 따라 오름
- 구매력 보존: 노후 생활비 확보에 유리
- 50대 전략: 매년 일정 금액씩 금 적립
📝 50대 추천 구매 전략
전략 1: 순금 골드바 (추천도 ★★★★★)
- 장점: 공임비 없음, 재판매 가치 최고
- 단위: 10g, 37.5g(10돈), 100g 등
- 구매처: 금은방, 은행 금통장 → 현물 인출
- 50대 추천: 은퇴자금 일부를 골드바로 보관
- 보관: 은행 대여금고 이용 (연 3~5만원)
전략 2: 순금 반지 (추천도 ★★★★☆)
- 장점: 착용 가능, 선물용으로도 good
- 무게: 5돈(18.75g) 이상 추천 (투자 가치 있음)
- 공임비: 7~10% 감수해야 함
- 50대 추천: 부부 금혼식 선물로 좋아요
- 주의: 디자인 복잡하면 공임비 20%까지!
전략 3: 금통장 (추천도 ★★★☆☆)
- 장점: 소액 투자 가능 (1g부터), 편리함
- 단점: 수수료 높음 (매입 1.5% + 매도 1.0%)
- 50대 활용: 매월 적립식으로 소액 투자
- 추천 은행: NH농협 (수수료 최저)
- 주의: 장기 보유 전제 (3년 이상)
📌 50대 자산별 금 투자 가이드
- 자산 5,000만원 이하: 금통장 매월 20만원 적립
- 자산 5,000만원~1억: 골드바 500만원 + 금통장 병행
- 자산 1억~3억: 골드바 1,000~2,000만원 (자산의 10~15%)
- 자산 3억 이상: 골드바 3,000만원 + KRX금시장 활용

🏆 5. 바가지 안 쓰는 꿀팁 모음
💡 꿀팁 1: 금은방 선택법
🏦 신뢰할 수 있는 금은방 특징:
- 시세표를 벽에 크게 붙여놓은 곳
- 한국금거래소 회원 금은방 (인증 마크 확인)
- 20년 이상 운영한 노포
- 계산기로 투명하게 가격 보여주는 곳
→ 이런 곳이 바가지 안 씌워요!
💡 꿀팁 2: 공임비 협상
💰 공임비 낮추는 방법:
- 단순한 디자인 선택 (용·봉황 같은 복잡한 거 피하기)
- 대량 구매 시 할인 요청 (3돈 이상)
- 단골 금은방 만들기 (2~3번 방문 후 협상)
- "공임비 얼마인가요?" 당당하게 물어보기
→ 물어보지 않으면 20%까지 붙이기도 해요!
💡 꿀팁 3: 매수 타이밍
📊 금 싸게 사는 시기:
- 오전 10시~12시: 금은방 시세 안정된 시간
- 월말: 금은방 매출 채우려고 조금 저렴하게
- 금값 조정 받을 때: 국제 금값 5% 이상 하락 시
- 달러 약세 기간: 환율 1,280원 이하일 때
→ 이때 사면 최대 5~10% 더 싸게 살 수 있어요!
⚠️ 금은방에서 절대 피해야 할 것
- 각인 없는 금 절대 구매 금지: 99% 가짜예요! 24K면 반드시 "999" 각인 있어야 해요. 없으면 아무리 싸도 사지 마세요. 제 지인이 이거 몰라서 100만원 날렸어요.
- 18K 이하로 투자 금지: 18K, 14K는 장신구용이지 투자용 아니에요. 재판매 시 손실 엄청나요. 투자 목적이면 무조건 24K 순금만!
- 현금 영수증 미발급 금은방 금지: 세금 탈루하는 곳이에요. 나중에 팔 때 출처 증명 안 되면 세무조사 받을 수 있어요. 반드시 영수증 받으세요!
📊 50대 금 구매 체크리스트
구매 전 확인사항
- □ 오늘 국제 금시세 확인 (Kitco.com)
- □ 여러 금은방 시세 비교 (최소 3곳)
- □ 24K 순금인지 각인 확인
- □ 공임비 비율 확인 (10% 이하가 적정)
- □ 영수증·보증서 발급 확인
구매 후 확인사항
- □ 무게 정확한지 저울로 재측정
- □ 각인 다시 한번 확인
- □ 영수증 잘 보관 (재판매 시 필수)
- □ 보관 장소 결정 (집 금고 or 은행 대여금고)
- □ 보험 가입 고려 (고액일 경우)

🎯 금은방 시세표 & 구매 핵심 정리
금은방 시세표 읽는 법부터 50대 맞춤 구매 전략까지 모두 알려드렸어요!
핵심만 다시 정리하면: - 1돈 = 3.75g, 24K = 순금 99.9% - 투자 목적은 무조건 24K 순금만! (18K 이하 비추천) - 시세표의 "매도가"가 내가 사는 가격 - 50대는 자산의 10~20%를금으로 보유 추천 공임비 10% 이하 금은방 선택, 각인 필수 확인 골드바 > 순금 반지 > 금통장 순서로 추천 50대는 은퇴 준비의 골든타임이에요.
예금만으로는 물가 상승을 못 따라가고, 주식은 변동성이 부담스러우시죠. 금은 그 중간에서 자산을 안정적으로 지켜주는 최고의 선택입니다. 제 주변 50대 분들이 이 가이드로 금 투자 시작하셨는데, "왜 진작 몰랐을까" 하시더라고요. 시세표 읽는 법만 알아도 바가지 안 쓰고, 공임비 협상만 해도 10~20만원 절약돼요!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로 물어보세요. 금은방에서 당당하게 거래하는 그날까지 함께해요! 💪💎
무단 복제, 배포, 상업적 이용을 금지하며, 출처 표기 시 일부 인용 가능합니다.
문의사항이 있으시면 댓글 또는 이메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